거꾸로 보는 고대사

저자
박노자 지음
출판사
한겨레출판사 | 2010-09-27 출간
카테고리
역사/문화
책소개
박노자가 들려주는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우리 시대의 대표 진보논...
가격비교

역사란 흔히 현대의 상식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따라서 또한 흔히 왜곡되고 편집되며 첨부되고 삭제된다. 한국사 또한 예외를 벗어날 수 없다. 한국은 19세기 제국들의 침략에 무참히 짓밟힌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이에 반항하고자 신채호를 필두로 하는 민족주의사학이 한시대를 휩쓸었다. 근대 민족주의사학은 아직까지도 한국사학계를 주름잡고 있으며 따라서 한국사는 민족주의식으로 왜곡되어 있다. 이에 이골이 난 박노자. 근대사학에 사로잡혀 장미빛으로 왜곡된 한국사를 버르집는다.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한 지역이나 국가의 민족성을 앞세워 정당성을 얻고자 하는 해석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주장하는 한민족의 우수성, 유태인들이 주장하는 신에게 선택된 민족이라는 믿음 등이 민족주의의 모습이다. 언뜻 보기에는 자국민의 긍지를 고양시켜주는 긍정이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치의 우두머리 히틀러도 지독한 게르만 민족주의자이고 때문에 비게르만 인종을 무참히 학살하지 않았는가? 민족주의란 자국, 동민종에게만 유리한 이념이며 타국과 어떠한 관계가 이루어질 때는 장애물로 바뀌는 표리일체 이념이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민족만 뛰어나면 남의 민족은 뒤떨어진다는 소리일 테고,또 다른 민족도 위와 같은 자민족 우수주의 즉 민족주의에 빠져 있다면 양국간의 불화는 불보듯 뻔하지 않은가?

 

저자는 이 민족주의 때문에 한국사도 꽤나 오염당했다고 말한다. 특히 일제강점기를 지나 반일감정이 고조에 달한 탓에 한반도 삼국시대에 일본은 삼국에 비해 무조건 후진한 문화를 가진 나라가 아니었고 일종의 파트너였다는 점을 괄시한다. 이를 인정하면 민족주의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당시 왜국은 삼국간의 균형이 흔들렸을 때 삼국 중 한 나라와 동맹을 맺고 대규모 군사지원을 하는 등 파트너 역할을 했으며 그 댓가로 빈번히 교역을 했다. 하지만 교과서는 이 점을 전혀 기술하지 않는다. 또한 한민족이 만주의 주인이었다고 단언하는 점도 교과서의 왜곡이다. 고조선을 이루고 있던 구성원 중에는 물론 한민족도 있겠지만 만주의 여러 부족들도 대다수를 차지했음이 자명한데 이를 마치 우리만의 전통, 우리만의 과거의 땅으로 당당히 외치는 것은 분명 자민족 이기주의에 해당할 것이다.

 

위와 같이 교과서로는 알 수 없는 참된 한반도 고대 역사에 박노자는 중점을 두고 기술한다. (비록 저자는 좌파더라도) 좌파와 우파에 영향을 받지 않은 그대로의, 민족주의에서도 벗어난 현대 순수사학으로서 분석한다. 현대 동아시아는 한국 중국 일본 부유한 세 나라가 서로 마찰도 하고 교역도 하며 붙어살고 있다. 이는 곧 날이 갈수록 삼국의 교류와 협조가 필요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 때에 중국은 동북공정을, 일본은 아직도 들끓는 극우들이 임나일본부설을, 한국은 한 때 만주는 우리 땅이었다며, 일본은 미천한 원숭이들의 나라였다며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이 책에 잘 기술되어 있듯이 사실 고대에는 (비록 마찰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한중일 모두 문화 교류가 활발했으며 서로서로 파트너였음을 알 수 있다. 지금 같이 동북아 협력이 강조되는 시대에 삼국은 동북아 자체의 협조 네트워크를 마련해야 한다. 지금처럼 서로 이를 갈고 있어서야 서구 제국자본에 휩쓸릴 뿐이다. 그 이 갈이의 기저에는 각국이 지독하게 내세우는 민족주의가 있고 이를 벗어나 문화 교류를 활발히 하던 측면에 중점을 두어 삼국 협조에 밑거름이 되고자 하는 것이 박노자가 이 책을 지으며 노린 점이다.

 

 간만에 새로운 시각에 눈을 뜨게 해준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