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문명의 조우이다

저자
김인중 지음
출판사
서울경제경영 | 2009-06-04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머리말] 이 책 마지막에 실린 김인중의 글은 이 책 처음에 ...
가격비교

계몽주의에서 사이버공간까지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조화를 논한다


굳이 분류를 하자면 사회현상에 관한 논문 종합서라고 할 수 있다. 책은 크게 3장으로 나뉜다.1장에서는 계몽주의가 독일문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민족이라는 개념의 정의 그리고 민족이 정치와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2장은 민주주의에 관해 논한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매디슨 민주주의를 다룬 부분이다. 우리는 쉽사리 민주주의란 개념을 생각할 때 '다수'를 떠올린다. 구체적으로는 평등한 다수가 내린 결정권이 사회를 이끄는 구조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그러나 매디슨이 생각한 민주주의는 달랐다. 다수가 선택한 소수의 엘리트들이 결정권을 가지는 구조가 바로 매디슨 민주주의이다. 이는 미국 양당의 당명을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공화정(republic)과 민주정(democracy), 공화정은 엘리트주의를 말하며 민주정은 다수의 인민에 의한 민주주의를 말한다. 이렇게 민주주의를 양분하는 거대한 두 흐름이 양분하게 된 계기에 매디슨이 있다는 역사인문학적 지식을 얻는 좋은 기회였다. 또한 두 시스템이 어떠한 한계를 갖는지, 2012년 현재 대한민국 대의제가 보여주는 많은 병폐들에서 몸에 와닿게 느낀다.


3장은 인터넷의 등장과 그 인터넷이 우리 삶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으며 앞으로의 방향은 어떠할지 짐작해본다.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인터넷 뉴스의 활성화로 변화된 언론의 구조 또 그 기능과 역할에 관한 부분이다. 최근 잇단 언론, 방송계의 파업과 관련해 책의 내용과 대조해보며 깊게 생각해볼 사안이다.

 

읽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점을 들자면 아무리 논문 종합서라 한다 해도 책이란 일단 기승전결의 플롯을 따라주지 않는다면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접근성은 아쉽다. 1장에서 우리에겐 아주 생소한 독일문학이 등장하며 머리가 하얘지는 전문용어 및 고유명사들에 질릴 뻔 했다. 분명 계몽주의와 연관되어 책의 부제처럼 인문학과 사회과학이 대화하는 현상을 파악한 것은 맞으나 그 지식의 강도(?)로 볼 때 기승전결의 전을 1번으로 삼은 구조이다.


그런 단점에도 21세기 한국이 떠안은 제문제의 핵심들을 2장과 3장에서 중점으로 삼아 다뤘다는 점에서 좋은 평을 하고자 한다. 비록 진입벽은 높은 책이지만 읽을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재미있다.